들어가며
준비만하는 과정은 끝냈고 이제 커리어 시작을 위한 단계에 들어간다. 마지막 프로젝트를 짧게 짧게 해서 그런지 시간은 금방 지나간 듯하다. 2달 전과 비교해보면 기술적인 면에서 고생한 만큼 성장한 것 같아서 뿌듯하기도 하다. 달력 없이는 오늘이 무슨 요일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반복적이고 고된 일정이었다. 혼자 했다면 멘탈까지 많이 힘들었을 텐데 같이 고생하는 팀원들과 동기들 덕분에 잘 이겨낼 수 있었다.
기업과제
이번 달 가장 재밌었던 경험은 기업과제다. 동기들과 원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과 달리 기업에서 제시해주는 요구사항에 맞는 웹을 제작했다. 기업마다 필요로 하는 기능이나 제시해주는 조건들이 제각각이었는데, figma 같은 디자인 협업 툴을 다뤄보기도 하고 기능만 간략하게 정해져 있어 디자인부터 상세 기능까지 다 직접 만들어야 할 때도 있었다. 처음 해보는 고민들에 하나하나 시간을 많이 쏟아야 했지만 팀 프로젝트 때와는 또 다른 고민을 해볼 수 있어서 유익했다.
과제기간이 끝나고 해당 기업들의 CTO에게 비대면으로 기업소개와 채용에 관한 내용을 듣게 됐다. 개발자를 채용하려는 회사들이 어떤 비전을 가지고 인재를 채용하는지 알 수 있어서 좋았고, 채용을 준비하는 주니어 입장에서 대답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이력서
수료식때 서울에서 이력서 관련 도움을 많이 받았다. 기술과 포트폴리오를 설명함에 있어 들어가야 하는 내용과 전혀 도움 안 되는 내용들을 분리할 수 있었다. 예시로 들어주는 내용들은 대부분 구체적으로 작성된 채용공고에서 볼 수 있었는데, 수시로 채용공고를 돌아다니며 어떤 기술이 필요한지 공부할 필요가 있다. 항상 아직 부족하다는 생각에 갇혀서 비효율적인 작업량만 늘릴 뻔했는데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시니어들을 만날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
마치며
지난달은 팀 프로젝트를 하며 보냈지만 이번 달은 다양한 실무적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좋았다. 너무 정신없이 달려온 감이 있어 여태 작업했던 코드들을 되돌아보며 효율적이게 고치고 복습하는 데 시간을 보내려 한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쪽이 훨씬 재밌지만 유지 보수 측면에서 지난 코드를 훑어보는 게좋은 공부가 될 것 같다. 틈틈이 이력서 작성도 놓치지 않으면서 11월도 파이팅